우리마을유래

제목금천면 동곡리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동곡리(東谷里)

상세내용

발백산(髮白山)에서 높고 낮은 봉우리들이 각양의 모습을 뽐내면서 마을 뒷편에서 다시 살아나서 정기를 함뿍 마을에 불어 넣고 있다. 서편은 서편대로 큰 봉우리가 융기하여 방안봉 등 유서를 남기면서 지기를 아낌없이 마을에 쏟고 있다. 이런 양 산령 사이로 소천(小川)에서 원류한 동곡천이 1, 2리를 갈라 놓고 동창천은 동곡리를 감아 돌고 있다. 갈지(葛旨)에서 들판으로 이어져 있는 지석묘는 2리 마을 앞까지 산열해 있는 것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주민이 살았다는 증거가 된다. 산을 등지고 계천변에 주거한 취락양식은 이 곳도 마찬가지다. 이 마을 역시 1500년말에 철성 이씨가 입촌하여 정착했다는 것이다. 그 이전에는 어떤 성씨가 살았는지 분명치 않다. 2리에는 1리 보다 약 20여년뒤인 1590년경에 윤 만 공이 입촌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윤 공이 어떻게 하여 이 곳을 택리 하였는지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동곡(東谷-동실)
동곡천 동쪽에 위치하였다고 동곡으로 부른다는 설과 현 동곡천 하류인 동창 언덕으로 통하는 다리목에서 보면 골짜기가 두 곳인데 동쪽 곡내(谷內)라고 동곡(東谷-동실)으로 불렀다는 설인데 지명은 지형에서 붙여진 것이 많기 때문에 후
자가 옳다고 보아진다.

상동곡(上東谷-웃동실)
동곡보다 위쪽에 자리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곡은 본면은 물론 산동지방(운문,금천,매전)의 중심지로 발전할 잠재력이 풍부한 곳이다. 시장을 중심으로 상업과 교통의 요지로 산중 도방(都房)이다. 대구, 경주, 청도로 통하는 교통의 삼각지 동곡시장의 자본적 역할 충족시키고 있다.

방안봉
동곡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 공이 매사냥을 즐기던 산으로 조선족 중종 국상일에 매를 방비(放飛)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 중복에 자리잡은 백련암(白蓮庵)은 선암사(仙岩寺)의 예부운략판목(禮部韻略版木)을 보관하였던 곳이다.동곡에 있는 몇 그루의 고목은 당시 역로(驛路)의 소거(小拒) 표시로 심어진 것으로 보인다. 즉 매전(梅田)역에서 10리 거리에 해당되며 여기에서 서지(西芝)역까지는 20리 거리로 두 역 사이가 30리 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