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유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양원리(陽院里)
상세내용
송정산의 성현령이 이어져오다 칠곡에서 분기하여 중산봉이 되고 주붕은 구릉봉으로 이어져 마을 둘레를 감아 돌아서 낮게 또는 높게 솟으면서 둔직(屯直)능선이 되어서 이서국을 자리 잡게 하였다. 마을 둘레는 산등선이 뻗어서 흡사 가마솥 같이 되어 있다. 양원리는 이 솥같이 오목한 곳에 자리잡은 마을과 떨어져 나와 길가에 자리한 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부곡(釜谷)은 북서풍을 막아주는 지형으로 포근한 감을 주는 마을이다. 새벌(陽院)에는 고려말 밀양인 두촌 박양무 공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심으로 청도 대현(大峴-한재)에 거주하면서 후손이 번창할 수 있는 곳을 찾던 중 이곳 새벌판을 찾아 장착하였다.
가마실(釜谷)
마을 주변 산의 형세가 가마솥(釜)형국이라고 붙여진 동명이며 가마솥에는 언제나 물이 있어야 된다고 지당(池塘)을 마을에 축조한 것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새벌
박양무 공이 새 벌판을 가리켜 새벌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양원(陽院)
양지바른 곳이라는 설이 있으나 고려시대부터 육로의 요충지로 원이 있던 곳으로 원(院)명이 양원인 것을 보면 양원의 기원은 현 주민들의 구전과는 연대차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팔조현을 눈앞에 두고 대구로 통하는 국도변에 원이 설치되어 공용자나 일반 여행자의 편의와 안정을 기했음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이곳의 새벌 시장의 규모는 작았을 것이나 원의 유지와 교통 및 골 안의 경제에는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주재소(警察支署)가 면소재지에 있지 않고
이곳에 설치한 것도 팔조현이 어떤 고개임을 단적으로 짐작케 해 주고 있다. 일인들이 본 관점도 당시의 상황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었던 것 같다.
영남 물고개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양원리와 화양읍 유등리의 경계에 있다. 즉 이서면과 화양읍 경계이기도 하다. 물고개란 조그마한 보로 물이 육안으로는 아무리 보아도 하류가 아닌 상류인 높은데로 흘러가는 것이다. 이 보가 국도변에 있어 행인들 눈에는 신기하게 보였을 것이다. 그로 이내 유명해진 것이다. 측량기술의 묘미로 수심력(水心力)의 영향이나 당시는 불가사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