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유래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
상세내용
우미산(牛尾山)은 보기에도 우람하게 동에서 반공(半空)에 솟아 달성군(達城郡)의 근접을 막고 있으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지슬천과 오산천이 합류하는 관계로 개천돌이 많은 지층을 형성하였고 남(南)만 약간 열려 있으나 분지 평야가 평평하게 전개되어 본 면의 심장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리인 덕촌에는 1600년경에 경주인 배태룡 공이 입촌하여 마을의 터전을 닦으면서 마을의 융성을 도모키 위해 전력을 했다는 것이다. 2리에는 1500년 중엽에 밀양인 변수철 공이 입주하고 마을을 열어 나갔다는 것이다.
각곡(角谷), 지촌(枝村)
배태룡 공이 동명을 정하고자 주위를 살펴보기 앞산의 형태가 짐승의 뿔과 흡사하므로 뿔골 즉 각곡(角谷)이라 정했으나 차차 세월이 흐르자 마을 주변에 숲이 우거지자 지촌(枝村)으로 개명했다는 것이다.
점마, 점곡(店谷), 점촌(店村)
조선시대 옹기를 굽던 곳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이곳에서는 유황도 제조하였으나 자원의 고갈로 100여 년 전에 현재의 우산동으로 이전해 갔다는 것이다. 도요지는 밭이 되고 수헌(數軒)이 아직도 남아 당시의 잔영을 남기고 있다.
독산(獨山), 덕산(德山)
변수철 공이 처음 정착하여 보니, 마을 앞에 홀로 떨어져 있는 독산(獨山)이 하도 묘하여 동명으로 정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독산보다는 덕산이 좋을 것 같아 덕산으로 개명을 했다는 것이다.
독산(獨山)의 과세(課稅)
독산이 달성군의 비슬산에서 분리되어 날아와 마을 앞산이 되었다고 하여 현풍면에서 산세(山稅)를 징수하러 옴으로 수년간 부담했으나 박씨가 번창 득세하면서 독산을 현풍면으로 옮겨가라고 하자 이후부터 독산의 산세를 부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