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유래

제목청도읍 원정리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상세내용

부야리와 대동소이한 자연환경이다. 그러나 이 곳에는 마을 앞들의 지석묘군을 보아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곳이다. 청도문헌고에 의하면 청도에 입향한 선현들이 이 마을에 일시적이나마 정착한 기록이 있다. 아마도 식수가 풍부하고 문전옥답이 있어 여건이 맞았던 것 같다. 이와 같이 선사시대부터 개척된 마을답게 동명도 허다하고 마을도 많다. 내종도면에서 용산면으로 면명이 개정되어도 이 마을이 중추적 역할을 했을 것으로 믿어진다. 왜냐하면 부근일대에는 선사시대의 유지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1리에는 1500년 중엽에 경주인 이 령공이 일시 정착했고, 1600년 후반에는 죽산인 박 희 공이 입주하여 마을의 기초를 새로이 가다듬고 마을을 육성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후손이 면면히 융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리에는 1600년대 중엽에 재령인 이운룡 공이 입촌하고, 1600년 말경에는 연안주씨도 입향하였다고 한다. 원래는 정촌리, 원당리, 제부리를 합동하여 원(元)자와 정(井)자로 리명을 했다.

원당(元塘)
박공이 마을에서 큰 집을 지었다고 원당이라는 설이 있고, 마을에 연지가 있어서 원당이라고 불렀다 한다.

정촌(井村)
마을에 우물이 많고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모강(慕崗)
이 동리의 뒷산이 수려하고 산수가 좋아 이를 숭앙하는 뜻에서 한양 조씨의 한 분이 지은 이름이라 한다.

흑석(黑石)
동리 앞의 지석묘의 바위 색깔이 검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흑즉(개비들즉)

동네어귀에 갯버들이 많아서 흑석이라 했다고 함.
한자가 너무 어렵기에 쉽게 쓸 수 있고 검은 바위가 많다는 뜻에서 흑석이라고 지금 쓴다고 함.

능곡(菱谷)
1600년경에 경기도에서 이주한 여흥 문씨가 정착하여 주위 산수의 경관이 하도 수려하고 산과 들의 형상이 마름모 같아서 부르게된 마을 이름이라 한다.

통안(統安)
식성군 이운용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분이라 이 분이 별세하자 통제사의 통자와 평안이 내세로 가라고 안자로 동명을 했다는 설과 별세후에도 마을이 평안하라는 뜻에서 붙였다는 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