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에서 꽃핀 조선의 목판문화배자예부운략판목排字禮部韻略板木(보물 제917호)시(詩)나 부(賦)를 지을 때 운(韻)을 찾기 위해 만든 자전인 배자예부운략을 판각한 책판이다. 예부운략은 학문을 연구하는 기초사전이며 과거시험의 필수서였다. 과거응시생들이 주로 사용하였던 까닭에 과거를 관장하는 부서인 예부(禮部)의 이름을 붙였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겨진 유일한 예부운략 판목이다.
청도박물관과거를 담아 미래를 열다청도에서 발굴되어 고향을 떠나 흩어져 있던 우리지역의 고고유물들을 한자리에 모아 소중하게 보전하고 있는 청도박물관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청도박물관, 무덤에서 만나는 청도의 고려문화 이미지입니다. 청도 대전리유적은 고려시대 영남지역의 사회, 문화상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학술자료이다. 무덤에 부장된 유물들은 생활용구로 무덤 주인공이 평소 사용하던 물품들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죽어서 만날 저 세상에서도 이 세상과 같은 삶을 누린다고 믿었던 고려시대 사람들의 내세관을 엿볼 수 있다. 청도 대전리 고려시대 무덤유적.

관람안내

관람시간
09:00 - 18:00(17:30까지 입장완료)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추석당일
관람료
무료
시설안내찾아오시는길

포토갤러리

더보기

문화가있는날2023 청도박물관 x 청도 브릭 분교블럭으로 만드는 나의 보물상자요리조리 블럭 유물 만들기
청도화첩 전자책1950년대 청도의 옛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