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감염병

1. 수두

헤르페스 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바리셀라-조스터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환입니다. 90%이상이 10세 이하의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어느 때나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겨울과 봄에 흔히 보게 됩니다. 직접 접촉이나 공기를 통해서 전염이 됩니다. 전염력은 강하여 발진 생기기 1일전부터 수포성 병변에 딱지가 앉을 때가지 약 평균 7일간 전염력을 갖습니다. 딱지가 앉은 후에는 전염력이 없습니다.

1) 증상
  • 잠복기는 약 10-23일 정도입니다.
  • 소아에서는 전신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성인인 경우 두통, 전신적인 근육통, 심한 요통, 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런 전구증상이 약 24시간 정도 지속된 후 피부발진이 생기게 됩니다. 발진은 흔히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소아에서는 적은 수의 병변이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병변이 발생합니다.
  • 처음에는 얼굴과 두피에서 시작하여 몸통과 사지로 번져 나가며 몸통과 얼굴에 숫자가 많고 팔, 다리에는 좀 적습니다.
  • 가피는 약 1-3주 사이에 떨어져 나가게 되고 대부분은 흉터를 남기지 않지만 긁거나 이차 세균 감염이 있었던 경우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2) 합병증
  • 2차 세균감염이 있을 수 있고 수두에 걸린 어린이에게 아스피린을 복용시킬 경우 Reye 증후군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금기입니다.
  • 그 외 폐렴이나 뇌염등이 드물지만 합병증으로 올 수 있습니다. 임산부가 임신 8-20주사이에 수두에 걸리면 소수이지만 태아의 기형을 초래하므로 주의가 요망됩니다.
  • 이 외에도 산모가 분만 전 5일 이내와 분만 후 48시간 이내에 수두에 걸릴 경우 신생아에서 아주 심한 수두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3) 치료
  • 정상인에서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게 중요합니다.
  • 이차적 세균감염을 피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가려움증을 줄여 줘야 합니다.
  • 소아에게는 예방접종을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2. 풍진(Rubella)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환자
    • ① 선천성 풍진 : 선천성 풍진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 방법 등에 의해 해당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인두 흡인물, 소변, 뇌척수액, 결막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특이 IgM 항체 검출
      • 예방접종에 의한 항체 상승이 배제되고 풍진 특이 항체가 모체항체가보다 높거나 모체 항체가 소실되는 시기 이후에 양성인 자
    •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 풍진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비인두 흡인물,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특이 IgG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특이 IgM 항체 검출
  • 의사환자
    1. ① 선천성 풍진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선천성 풍진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자
    2.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풍진임이 의심되나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1) 역학적 특징
  • 세계현황
    • 백신도입 전에는 6~9년 주기로 유행
    • 백신도입 후에는 백신접종 지역에서는 대규모 유행은 없으나 학교나 군대 등에서 산발적인 유행은 지속됨
    • 백신 접종전에는 5~9세에 호발하였으나, 백신도입 후에는 10~14세에 가장 호발하며, 20~24세에서도 호발함.
  • 국내현황
    • 2000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2000년 107명, 2001년 128명 보고되었으며 2001년 MR 일제 예방접종 후 급격히 감소함.
  • 전파경로 : 비말감염 등의 공기매개감염, 직접 접촉, 또는 수직감염으로 전파됨
2) 임상적 소견
  • 잠복기: 14~23일(14일)
  • 임상증상
    1. ① 선천성 풍진증후군 : 선천성 백내장 ? 녹내장, 선천성 심장기형(동맥관 개존증, 말초 폐동맥 협착 등), 선천성 청력소실, 풍진 망막병증, 자반증, 비장비대, 황달, 소두증, 정신지체, 뇌수막염, 뇌염 등을 보임
    2.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 비교적 가벼운 임상경과를 거치는 질환으로서 불현성 감염도 흔함
      • 특징적으로 귀 뒤, 목 뒤, 후두부의 림프절이 통증을 동반하며 종대됨
      • 발진 : 얼굴에서 시작하여 신체의 하부로 퍼지는 홍반성 구진으로 서로융합되지 않으며 색소침착도 없음. 첫날에는 홍역의 발진과 비슷하며, 둘째날에는 성홍열의 발진과 비슷하고, 셋째날에는 사라지는 경우가 많음
      • 발열, 피로, 결막염, 비카타르 등
  • 합병증 : 관절염(사춘기나 성인 여자에서 흔함), 혈소판 감소증 등
3) 치료

대증치료

4)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격리 : 호흡기 격리
      • 격리기간 : 발진후 7일까지
      • 특히 감수성이 있는 임부들의 접촉을 금함
  • 접촉자관리
    • 노출 후 예방접종, 면역글로불린은 방어효과 없음
    • 풍진에 노출이 의심되는 임신초기 임산부는 감염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며, 결과에 따라 조치하여야 함
5) 예방
  • 예방 접종
    • 접종대상 : 모든소아
    • 접종 시기 : MMR 백신을 생후12~15개월, 4~6세에 접종
  • 임신초기(first trimester) 여성 및 면역성이 없는 가임여성은 환자와의 접촉을 절대적으로 피하도록 홍보

3. 유행성이하선(Mumps)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virus) 감염에 의한 이하선 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열성 질환

1) 역학적 특징
  • 세계현황
    • 세계 도처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WHO 회원국의 57%만이 예방접종을 하고 있어 질병발생이 크게 감소한 국가에서는 최근 해외유입사례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음.
    • 백신도입 전 세계 연간 발생율은 인구10만 명당 100-1000명 이었으며, 온대기 후에서는 겨울고 봄 사이에 PEAK로 발생하고 2-5년 간격으로 유행하는 양상
    • 호발연령은 5세~9세임
  • 국내현황
    • 1998년네 대유행(4,461명) 있은 후 3,000건 이하로 줄어들었다가 2007년 4,557명으로 다시증가하였으며 6~17세에 호발함.
    • 6~14세에 호발
  • 전파경로 : 비말 핵이나 환자의 타액을 통한 공기 전파, 또는 직접 접촉으로 전파 됨
2) 임상적 소견
  • 잠복기 : 14~18일
  • 임상증상
    • 전구기(1~2일) : 발열, 두통, 근육통, 구토 등을 보임
    • 이하선을 침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85%), 악하선도 흔히 침범하나 설하선은 드물게 침범함
    • 발병 초기에는 한쪽 이하선에서 시작하여 2~3일 후에는 양측을 다 침범함
    • 약 10~15%는 한쪽만 침범
    • 통상 1~3일째 최고조에 도달하였다가 3~7일 이내에 점차 호전
  • 합병증 : 바이러스성 수막염, 고환염, 부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청력장애 등
3) 치료

대증치료(통증이 심한 경우는 진통제 투여)와 보존적 치료 (구토로 인한 탈수시는 수분 및 전해질 공급, 저작장애시는 식이요법)

4)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격리 : 호흡기 격리(이하선염이나 다른 증상 발현 후 9일까지)
    • 환자의 코나 목의 분비물로 오염된 물품 소독
  • 접촉자관리
    • 접촉 후의 예방접종, 면역글로불린은 방어효과가 없음
5) 예방
  • 예방 접종
    • 접종대상 : 모든소아
    • 접종시기 : (MMR) 백신을 생후12~15개월과 4~6세에 접종
    • 접종용량 및 방법 : 상환외측면에 0.5㎖ 피하주사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성에 만족하시나요?

청도군 보건소자료실

보건소 대표전화번호054. 370. 6470

  • 보건소 이용시간
    평 일09:00 ~ 18:00
    예방접종09:00 ~ 12:00
    점심시간12:00 ~ 13:00
    ※ 토/일/공휴일은 휴무입니다.
  • 찾아오시는길
봄철감염병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www.cheongdo.go.kr/open.content/health/data/infectious/infection.spring/ 입니다.

<봄철감염병> 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