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무늬병(Black spot)병징 |
주로 잎에 발생하며, 간혹 줄기와 꼬투리에도 발생한다. 잎에 원형의 암갈색 내지 흑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약간 확대되며, 병반끼리 융합하여 커지기도 한다. 오래된 병반의 내부는 찢어져 구멍이 생기기도 하며, 심하게 감염된 잎은 잎 전체가 황갈색으로 변하여 말라 죽는다. 꼬투리에 병이 발생하면 종자의 임실이 저해된다.
 |
---|
병원균 |
두 종류의 균 모두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며, 분생자경은 곧거나 약간 굽은 모양이며, 담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고, 격막이 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경의 끝부분에서 단독 혹은 드물게 2∼3개의 연쇄로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황갈색 내지 회갈색을 띠고 6∼19개의 횡격막과 보통 1∼8개의 종격막을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90∼260×14∼25㎛이다.
부리크기는 분생포자 크기의 1/3∼1/2이 된다. 이 균의 생육온도 범위는 2∼30℃이고 생육적온은 22∼24℃이다.
A. brassicicola의 분생자경은 상기의 종과 같이 곧거나 약간 굽은 모양이며, 담갈색 내지 황갈색을 띠고 격막이 있다. 분생포자는 최고 20개까지의 긴 연쇄로 형성되며, 간혹 가지를 치기도 한다.
분생포자는 황갈색 내지 암갈색, 관상형으로 그 상부의 끝부분이 둥근 모양이고, 부리는 거의 없으며 1∼10개의 횡격막과 간혹 1∼2개의 종격막을 가지고 있다. 분생포자의 크기는 12∼70×6∼15㎛이다.
 |
---|
발생생태 | 병원균은 종자나 병든 부위에서 균사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보통 가을철 비가 많이 온 후에 심하게 발생한다. |
---|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하고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작물의 생육중에는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위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