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영농상담실

청도군 농업기술센터 사이버영농상담실은 청도군 농민들의 농업관련 각종 의문사항이나 궁금증을 질의하는 곳입니다.

상담내용을 작성해 주시면, 해당 담당자가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단순 온라인 홍보, 물품 판매 등 농업 상담과 관련없는 게시글은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목깍지벌래인가요?
작성자김창국 @ 2022.03.21 20:21:10

지난가을수확끝난후 부터 관찰되었습니다

병든가지는 못쓰나요 예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방제는 어떻게 합니까?  감사합니다

답글제목깍지벌래인가요?
작성자정현진 @ 2022.03.23 13:14:34

우리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첨부하신 사진상으로는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란입니다.

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생태정보

ㅇ 2009년 공주 사과원에서 최초 발견된 후 급속히 확산되어 2016년 현재는 경기, 충남북, 전남북, 경남 지역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점차 동쪽으로 확산되고 있다.
ㅇ 연 1회 경과하며, 알로 줄기에서 월동한다.
약충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에 나타나고 약충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먹으며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되며, 성충은 7월 중순부터 11월 중순에 나타나며 8월 중순부터 나뭇가지 속에 산란한다.
ㅇ 주로 1년생 가지에 2줄로 산란한 후 톱밥과 흰색 밀납 물질을 섞어서 덮는다.

피해정보

ㅇ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블루베리, 대추 등 주로 목본류에 피해를 주고, 밀도가 높을 때는 초본류에도 피해 발생  함
ㅇ 성충과 약충이 기주를 흡즙하여 수세를 약화 시킨다.
암컷 성충은 1년생 가지 속에 2줄로 비스듬히 산란하며, 산란으로 인하여 가지가 말라 죽어 결과지 형성에 피해를 준다.
배설물에 의한 왁스 물질 분비로 잎, 줄기, 과실에 그을음 증상을 유발하며,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심할 경우 기주를 고사시킨다.

방제방법

물리적 방제법으로 8월 중순부터 다음해 5월 이전까지는 산란된 나뭇가지를 제거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지 겉면이 아닌 조직 속에 산란하므로 해당 부위를 제거하지 않으면 방제가 어렵다.
성충이 나타나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산란을 막기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다.
노란색 끈끈이 트랩은 약 3m 간격으로 설치하며 높이는 1~1.5m 정도가 적합하다.
또한 방충망을 설치하여 과원으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등록약제 방제는 알에서 약충이 부화하는 5월~6월 무렵이 가장 효과적이다.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일수록 약제에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성충은 산란하기 전인 8월 초순부터 9월 초순까지 방제적기이며, 결실량 확보 등을 위해 피해가지를 이용할 경우, 동계 휴면기 때(청도기준 2월말경) 산란부위에 기계유유제 20배액을 분무하거나 붓으로 도포하면 부화를 90% 정도 억제 할 수 있으며 결과지도 사용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원예특작부서(☏370-6537)로 문의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성에 만족하시나요?

청도군 농업기술센터열린광장

  • 교육상담054. 370. 6485
  • 영농상담054. 370. 6262
사이버영농상담실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www.cheongdo.go.kr/open.content/farm/community/farming.counseling/?i=121555 입니다.

<사이버영농상담실> 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